오늘도 펀드의 종류 중 하나를 알아보자.
인프라 펀드
각종 사회기반시설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융자 및 출자, 관련 채권을 매입하는 등의 자금을 조성 및 운용하는 펀드라고 볼 수 있다. 즉 교량, 항만, 도로, 철도, 공공청사 등 정부와 공공 부문이 주도하는 모든 건축, 토목공사를 포함하는 SOC(Social Pverhead Capital) 사업만을 투자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이 펀드는 SOC 부분의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인프라 펀드 장점
SOC 부문의 투가자가 가지는 장점을 몇가지로 정리하면,
제조업 생산효율성 증대, 경제 성장에 직접 기여, 국민생활 편리성 증대 등이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 공급 위주 투자정책, 도로, 철도, 항만, 공항 간 칸막이 사업, 안전사고 예방노력 미흡, 재정지출 비효율과 통제수단 미비 등이 논의 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1999년 '한국인프라 1호 투융자회사'의 설립으로 시작이 되었고, 주로 각각의 펀드가 하나의 독립된 회사로 만들어지고 여기에 출자해서 투자자가 펀드의 주인이 되는 뮤추얼 펀드의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