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걸이 부상 예방법

턱걸이에 대한 정보, 자세등은 워낙 많기에

오늘은 조금 특이하게 턱걸이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 통증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1. 회전근개 손상

후면을 보면, 위에서 부터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순이다. 외우기 쉽다.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 관절을 회전하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근육과 견의 조합을 말한다.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총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이 좀 더 쉬웠으면 좋겠건만..)

 

상완골과 견봉 사이에 근육이 끼어서 파열된다.

 

찢어진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근개 파열은 극상근이 손상되는 것이다.

 

준비운동 시에 회전근개가 충분히 스트레칭이 되지 않거나, 턱걸이를 과도하게 많이 했을 때, 어깨나 등이 다 털렸을 때, 무리했을 경우에 턱걸이 최하단 지점, 데드행 상태에서 올라올 때 우두둑 하는 소리가 어깨에서 나며 통증이 올수 있다. 소리가 나는 순간! 이때는 무조건 쉬어야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회전근개 강화 운동', 그리고 무리하지 않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는 주로 힘이 많이 빠진 상태에서 무리해서 턱걸이를 하면 이런 경우가 종종 나타났다.

 

그런데 힘이 빠진 상태에서도 턱걸이를 하고 싶다면 방법이 하나 있는데, 최하단까지 어깨를 내리지 않고, 약간은 깔짝깔짝 하는 것, 그러면 근육을 더 끝까지 밀어붙일 수 있다. 그래도 추천은 안한다.

 

 

 

2. 목 근육 뭉침

일명 거북목 턱걸이로 주로 초보에게 많이 나타날 수 있다. 턱걸이라는 말을 곧이 곧대로, 턱을 걸려고 너무 용을 쓰다보면 목을 앞으로 내밀게 되기도 하고, 봉에 턱을 걸려고 하다보면 목에 담이 올 수 있다.

 

해결 방법은 턱걸이를 할 때, 가슴이 바에 닿는다는 생각이 가장 좋고, 어렵다면 최대한 당긴다는 생각으로만 하자!

물론 할로우 자세 턱걸이도 있지만, 거북목 턱걸이는 절대 안된다.

 

 

 

3. 손가락 힘줄, 인대 손상

이 또한 준비운동 부족으로 몸이 예열이 되지 않았을 때 나타날 수 있다.

필자는 새끼손가락에 2번 정도 부상 경험이 있는데, 뭔가 갑작스레 힘을 줄 때,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약한 손가락 (경험상 새끼손가락?)에 무리가 갈수 있다.

 

해결방법은 턱걸이 전에 몸에 열을 올리고, 준비 운동 세트를 꼭 하자!

 

 

4. 허리 부상

이 부상도 초보에게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허리를 과도하게 아치로 꺾을시에

허리에 쓸데없는 부하가 가해져 허리에 통증이 오는 것이다.

 

해결 방법은 허리를 중립으로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며 당기는 것이다.

 

 

 

- 효스토리

필자는 머슬업 시에 팔꿈치 부상 당했던 것과,

플란체 연습하며 전완쪽에 입은 부상이 계속해서 괴롭힌다.

안타깝지만 한번 부상 당하면 갈아 끼울 수도 없고

부상 전보다 보통 기능이 떨어지고, 팔 같은 경우는 멀쩡한 부위와 비교하면 억울할 지경이다.

 

부상 당하셨을 때는 꼭 쉬시기를 바란다.

 

(이 외에도 겪으신 통증들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