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장의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병
정의 : 장폐쇄증(ileus)이란 장, 특히 소장이 막히는 경우를 말하며,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는 경우(mechanical ileus)와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paralyticileus)가 있다.
증상 : 장이 폐쇄되면 수분 및 공기가 압축되어서 장이 확장되고 구토가 일어난다. 또한 복부내압이 증가되어 호흡에 장애가 오며 수분이 빠져나가 탈수증이 생긴다.
원인 : 첫째는 기계적 장폐쇄증으로 수술 후 발생하는 장유착, 장내종양이나 이물질에 의한 장관 내 폐쇄, 탈장, 장의 선천성기형, 장의염전 등이며, 둘째는 마비성 장폐쇄증으로 수술 후 일시 마비나 전해질 불균형, 복막염, 장의 허혈, 복강 내 패혈증 등이며, 셋째는 소장의 혈관의 폐쇄에 의한 것이 있다.
치료 : 기계적인 원인에 의한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기계적 장폐색증의 치료는 내과적 처치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종양 등으로 인한 폐색 시에는 수술적 처치를 시행한다. 초기 치료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 공급과 감압이다. 물론 수액치료를 하면서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하는데, 통증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염진통제를 비롯하여 진경제, 항생제 등을 사용한다. 감압이란 팽창된 장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처치를 말하는데, 장 내용물이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므로 위쪽으로 빼줘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처치는 코를 통하여 위까지 기다란 관을 삽입하는 방법이며, 이때 사용하는 관을 비위관 혹은 레빈 튜브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