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란, 간단히 알아보기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24절기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한 것.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씩 점을 찍어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6개씩의 절기가 있다.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처서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8월 23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 15일 무렵 이후 인데,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달해 있을 때이다. 음력 7월을 가리키는 중기이기도 하다.

 

 

 

처서(暑)에 관한 썰

흔히 처서는 '땅에서 귀뚜라미가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 뭉게구름 타고 온다.' 라고 표현할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에 접어드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다.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자라지 않기에, 논두렁의 풀을 깎고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하기 시작한다.

 

 

 

아침저녁 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고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 고 말한다. 파리, 모기가 점점 사라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오는 시기이다. 농사철 중 비교적 한가한 때이다.

 

처서의 날씨는 농사의 풍흉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가을이라 하지만 아직 햇살이 왕성하고 날씨가 맑아야 한다. 그래야 벼의 이삭이 잘 자라기 때문이다. 무언가 한꺼번에 성했을 때는 비유적으로 '처서에 장벼 패듯' 이라 하는 것처럼 처서 무렵, 벼가 얼마나 잘 자라는가를 보여주는 속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