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신용등급도 있지만 기업의 등급 또한 존재한다. 오늘은 기업에 등급을 알아보자.
기업 신용등급
기업의 경영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서 정하는 등급. 또 채권발행 금리의 기준이 되는 것이 신용등급이 된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금융회사를 통해서 대출을 받을 수도 있고, 증권시장에서 주식, 채권을 발행하는 것 등이 있다.
신용이 좋은 기업일수록 자금 조달이 용이하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이 된다. 또한 기업뿐 아니라 각 나라별로 신용등급이 매겨지기도 한다.
구체적 등급
기업의 신용등급은 최상위 AAA부터 D까지 총 18등급으로 나눠진다.
이때 AA등급부터 B등급까지에는 +- 부호를 붙여 동일 등급 내 우열을 구분한다.
AAA 원리금을 지급할 능력이 최상급
AA 원리금을 지급할 능력이 우수하나, AAA보다는 다소 열등
A 원리금을 지급할 능력은 우수하나, 상위 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쉽다.
BBB 원리금을 지급할 능력을 양호하나, 상위 등급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에 따른 장래 원리금 지급 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BB 원리금을 지급하는게 당장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장래 안전에 대해 단언키 어려운 투기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B 원리금을 지급할 능력이 부족해, 투기적이며 이자 지급 여부가 확실치 않다.
CCC 원리금을 지급하지 못할 불안요소가 있고, 채무 불이행할 위험도가 크다. 매우 투기적이다.
CC 상위 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큰 편이다.
C 채무를 불이행할 가능성이 높다. 원리금을 상환할 능력이 없다.
D 상환이 불가능한 상황
등급 정리
BBB등급까지를 '투자적격 신용등급' 이라고 평가한다.
BB부터는 '투자부적격 등급', '투기 등급' 이라고 평가한다.
D등급은 부도 등으로 이미 갚을 능력이 소실된 상태다.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아래로 가면 원금을 갚지 못할 위험이 커지므로 투자자는 자신이 구매하려는 채권 기관의 신용도를 꼭 확인해야 한다. 신용도가 낮은 기업의 경우 높은 이자율로 투자자를 유인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