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점점 더워지는데, 이제 좀 시원해졌으면 하는 맘이 꿀뚝같다. 더위를 뒤로하고 오늘은 금융, 주식 용어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ELS 주가연계증권
특정 주가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의 수치에 연계해 투자수익을 배분하는 증권이다. 투자되는 자산 대부분을 우량채권에 투자해 원금을 보존하고 일부의 금액을 주가지수 옵션이나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해 고수익을 노린다.
2003년에 증권거래법 시행령 이후 만들어졌는데, 요즘처럼 주가 변동이 커 직접 투자를 꺼리게 될 때, 안정적이며 은행보다 높은 수익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주목한다.
예를 들어 현대그룹에 관한 주식 전망이 좋을 때,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 같은 두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다. 향후 그 종목들이 어느정도 오르거나 내려져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원금과 이자가 조기 상환된다. 그 종목의 등락이 없어도 3년 안에 한번만 충족되면 상환 되기에 큰 걱정은 필요없다.
그런데 이런 걱정으로 원금보장형 ELS를 선택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원금보장형은 파생상품에 투자액보다 채권의 비율을 높여 상대적으로 비보장형에 비해 수익이 낮을 수 밖에 없다. 반대로 원금보장수준을 낮추고 파생상품투자액을 늘려 기대수익을 높이는게 좋아보인다.
최근에는 개별종목에 대한 불신도 워낙 커져, 좀더 안정적 수익을 원하면 종목형 ELS 대신 주요국 지수에 투자하는 지수형 ELS도 나오고 있다. 코스피 지수, 코스피2 00지수, 항셍 지수 등 국내뿐 아니라 외국 지수에도 투자하는 것이다. 이때 주가보는 안목이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적립식이 아닌 거치식 투자이기에 최소 100만원 이상의 목돈이 한번에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