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드디어 입추라고 하는데, 빨리 이 장마가 끝났으면 하네요. 수해 복구 작업도 잘 이루어지길 기도합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24절기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한 것.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씩 점을 찍어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6개씩의 절기가 있다.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추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린다.
24절기 중 13번째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인데, 태양의 황경이 135도 있을 때이다. 대서와 처서의 사이에 있다.
입추에 관한 썰
관련 속담으로는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고 한다.
입추 때는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라 맑은 날씨가 지속되어야 한다. 조선시대에는 입추가 지나 비가 닷새 이상 지속되면 조정이나 각 마을에서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도 올렸다고 한다.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때이므로 날씨를 보고 점을 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이 풍년이라 여겼고, 이날 비가 조금만 오면 길하고, 많이 오면 벼가 상한다 여겼다.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나면 다음해 봄, 염소와 소가 죽을 것이라 점친다.
입추가 지나면 어쩌다 늦더위가 와도,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분다. 이때부터 가을 준비를 하고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기 시작한다. 김매기도 마치고 농촌도 한가해지므로, '어정 7월 건들 8월' 이라는 말이 전국에 유행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