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모증 및 빈모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자가 모발 이식술

무모증, 빈모증의 스트레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털에 대한 스트레스는 상상 이상입니다. 보통 2차 성징이 발현될 때 털이 같이 나는데요. 남성 호르몬의 영향을 정상적으로 받아야 털이나지요~ 무모증과 비슷하게 보이는 증상인데, 음모가 정상인에 비해 훨씬 적은 현상으로 스트레스가 어마어마 합니다.

 

치료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알고 싶었던 내용은 아래 내용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빈모증, 무모증 치료법 알아보기

무모증 원인

사춘기가 되어 2차 성징시에 음모가 자라는데, 음모는 이성의 주의를 끌고, 촉각적 기능, 음부 피부 보호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남성호르몬의 작용으로 자란 연모는 굵고 짙은 색의 성모로 전환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호르몬들이 작용을 합니다.

 

음부 무모증과 빈모증은 몽골계 인종의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며 무모증과 빈모증을 합하면 한국 여성의 약 4.4% 정도가 속한다고 합니다.
음부 무모증과 빈모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주로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음부 무모증, 빈모증은 대중 목욕 문화 특성상 사회적 편견으로 정신적 열등감을 느끼게 됩니다.

 

 

증상

다른 부위의 모발은 정상이나 음모가 적거나 없는 것이 특징

 

진단/검사

특징적인 임상 양상으로 진단하며 필요시 혈액검사를 수행합니다.

 

치료

남성 호르몬이 모낭에 대한 직접적 국소 작용, 전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발모 촉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실제로 치료에 적용을 하기도 합니다. 부분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을 바르는 경우 혈중 안드로겐에 미치는 영향이나 성관계 파트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고를 바르는 것만으로는 음모의 밀도나 길이가 빈약하여 환자들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장 흔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은 자가 모발 이식술입니다. 자신의 머리 뒤쪽에서 두피를 절제한 후 한올 씩 모발을 나눈 다음 모낭을 포함하는 모발을 음부에 직접 이식하는 것입니다. 이식된 이식모는 거의 다 생착을 하게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모처럼 곱슬 거리는 모양으로 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