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 폐지 이유

공인인증서 폐지

 

실제로 공인인증서는 개발 초기 불편함으로 수많은 민원에 시달렸습니다.

 

1999년에 도입된 공인인증서는 올 하반기에 폐지될 예정. 기존 공인인증서 제도의 폐지를 골자로 한 전자서명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1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10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 폐지 이유

한마디로 정리하면 불편함입니다. 1년마다 재발급을 받아야되고 ActiveX도 짜증나죠.

이제 많은 사용자가 적응했으므로 동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공용 인증서를 얻으려면 ActiveX(ActiveX)와 여러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실제 공인인증서 도입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보안성과 편의성 등 다양한 신분확인 방법이 등장하고 공인인증서보다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인증서가 등장하면서 공정한 경쟁이 가능한 전자서명시장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던 공인인증서를 폐지하고 전자서명시스템과 시장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민간인증서의 시대를 열어 다양하고 편리한 전자서명 서비스가 더욱 활성화 될 것이 기대됩니다.

 

기존 인증서 사용가능

폐지되도 기존 공인인증서에 적응한 이용자가 아직은 많을 것이기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 공인인증서를 공동인증서 이름으로 변경해서 혼란을 줄였습니다.

하지만 6개 기관이 발급한 인증서의 법적 보장은 오는 10일 이후에는 사라지게 됩니다. 

여러 민간 인증서 중 하나가 되죠.

 

민간인증서 후보 및 장점

기존에는 발급 절차가 굉장히 까다롭고 했는데요

이제는 인터넷 뱅킹이나 카카오페이를 이용하는 것 만큼이나 간단하게 PC나 모바일 등 비대면으로도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공동인증서에 가입할 때 필수였던 복잡한 짜증나는 10자리 이상의 비밀번호가 사라지며,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정보나 간편 비밀번호(PIN)등으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민간인증서는 업체별로 제휴를 맺은 보험사 또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모두 이용이 가능합니다.

 

내년 초 (2021년1월1일) 부터 연말정산에서도 민간인증서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