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가격도 가격이지만, 차량 소유에 대한 국가의 세금 또한 만만치 않다. 아마 처음 차를 마련하면, 자동차 값만 생각하지만, 등록비, 그리고 자동차세 등등 여러 가지 돈 나갈 곳이 많다. 오늘은 자동차 세금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동차세의 성격은 재산세, 그리고 도로 이용, 환경 오염 등에 대한 것들이 다 포함되는 것이다.
자동차 세금 종류
1. 자동차 구입시
첫 번째로는 개별 소비세이다. 개별 소비세는 보통 고가의 물품에 세금을 매겨 과소비를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전과는 달리 자동차가 가정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많이 인하되고 있다.
두 번째는 부가세이다. 우리나라는 10%의 부가가치세를 매기고 있다.
세 번째는 교육세이다. 자동차 교육 재정 확보를 위하여 매기는 세금이다. 말 표현은 다 다르지만, 아무튼 다 나라에서 세금을 걷어가는 것이다. 과세 표준은 개별소비세를 따른다.
2. 자동차 등록 시
첫 번째는 취득세이다. 매입가의 7% 세금이 매겨진다. 취득세라는 것은 지방 시도에서 부과하는 지방세인데, 부동산, 시설 이용, 차량 등 광범위하게 적용이 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그 지방에서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지방을 중심으로 부과가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채매입이다. 배기량에 따라 4~20%가 적용된다.
3. 자동차 보유 시
첫 번째는 자동차세이다. 우리가 실질적으로 마주할 세금이 자동차 보유 시 세금인데, 기본적으로 배기량 cc에 따른 세액이 정해진다. 쉽게 말하면 경차는 매우 저렴, 큰 차일수록 점점 비용이 비싸지는 것이다. 실제 운행 여부와는 상관이 없고, 1월에 1년 치를 한 번에 모두 부과할 경우에는 할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는 교육세이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
자동차를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은 어떤 세금이 얼마나 부과되는지 많이 고민들이 되실 것인데, 오늘 포스팅을 통해 자동차 세금 종류에 대해 파악하셨으리라 생각한다. 사실상 차량 보유 시의 자동차세가 우리에게 가장 체감되는 세금 아닌가 싶다.